#주민번호클린센터 에서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 확인하기.3
어제 일시적으로 유입 경로에서 추출된 키워드 중 "주민번호클린센터"라는 키워드로 블로그에 방문한 사람이 급증한 것을 보고, 예전에 포스팅한 글 내용을 읽어보다가 당시 주민번호 클린센터에서 신청했던 것의 결과가 궁금해 다시 방문해 보았다.
- 2014/04/30 - [관심거리] - #주민번호클린센터 에서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 확인하기.
- 2014/07/09 - [관심거리] - #주민번호클린센터 에서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 확인하기.2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 확인 > 회원탈퇴 요청내역 확인
우선 주민번호 클린센터에 들어가서, 회원탈퇴 요청내역 확인이라는 메뉴가 있길래 클릭해 보았다.
회원탈퇴 신청을 하면, 결과는 메일로 통보한다고 한다. 나는 두번 정도 메일을 받은 기억이 난다. 당시 내가 신청했던 탈퇴 요청 수는 50 여건이었다. 한번에 10건씩 메일로 통보받았으니, 지금은 몇 건 정도 검색이 될지 궁금해졌다.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 확인 >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 확인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 확인을 클릭하면 팝업창이 하나 뜬다.
고유식별번호 처리,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를 받은 후에 주민등록번호를 입력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요즘은 주민번호를 함부로 수집할 수 없게 되어있기 때문에, 주민등록번호를 입력받는 입장에서는 고객이 먼저 개인정보를 제공한다고 했다 것에 동의를 받아놓고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실명확인 클릭.
요즘 아이핀 때문에 문제가 많기에, (아직 아이핀 탈퇴는 하지 않았지만)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해 보았다. 공인인증서 로그인은 범용이 아닌 금융기관에서 발급받은 것도 가능하기에 나름 불편하지 않았다.
아이핀의 경우 전부터 해킹 가능성을 생각했었는데, 이렇게 결국 해킹을 당했다는 소릴 들으니 어이가 없었다. 국가적으로 개인임을 인증할 수 있는 수단을 만들고 이용을 홍보해서 쓰게 할꺼면, 시스템을 만들어 놓고 유지, 보수만 하기 보단, 해커가 침투할 수 없도록 매년 시스템을 새로이 만들듯이 운영해야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이제 아이핀이 정착되었는가 싶었더니 시스템 운영을 어떻게 했는지 해킹을 당해버렸다. 하... (물론 열심히 했겠지.)
2. 개인적으로 신용카드 인증도 위험한 것 같다. 신용카드 번호를 직접 입력해야 하고, 신용카드 번호를 입력한 것이 혹시나 임시로라도 저장되어서, 그것이 해킹 당해 유출되면 개인이 가지고 있는 현금 통장도 위험해지기 때문이다.
3. 공인인증서 본인인증은 공인인증서가 담긴 저장장치를 남이 접근해서 비밀번호를 알아낸다면, 그럴 경우에 위험해질 수 있다. 그 외에 아직까지 그쪽에 지식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 다만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으려면 유료로 범용 공인인증서를 발급받거나, 금융기관에 가서 인터넷뱅킹을 신청해서 금융기관용을 발급받아야 하기 때문에 좀 귀찮기도..
4. 휴대폰으로 인증번호를 받아서 인증받는 법의 경우도 복제폰, 타인이 휴대폰을 습득해서 인증받는 경우 등등 다른 문제가 많이 있겠지만, 그나마 인증에 무난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회원 가입을 할 때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어버려서 인증을 받을 때, 휴대폰 번호를 가입한 사이트에 입력하고 싶지 않을 때, 그 때 휴대폰으로 인증받으면서 휴대폰 번호를 가입한 사이트의 회원 정보에 추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다면 문제가 될 것 같다. 어떻게든 스팸 문자가 늘어나는 계기가 될 테니까.
그 외에 다른 많은 위험성이 있을 수도 있겠지 싶다. 이 세상엔 나쁜 천재들이 많으니까;;
나는 아이핀에 가입한 후부턴 아이핀과 휴대폰으로 거의 인증을 받았었는데, 앞으론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다. 그나마 개인적으로 공인인증서 인증이 낫지 않을까 싶다. 이미 다 털렸으니 그냥 체념하고 써야지 싶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내 개인정보를 팔아서 수익을 남길꺼면 수익금의 50%는 나에게 좀 줬으면 좋겠다.ㅎㅎ)
(그렇다고 제 개인정보를 팔으라는 소리는 아니니 진지하게 듣진 말아주세요. 해커님.T.T)
가입내역 검색 결과는 이랬다. 10건 밖에 없다니 기분은 좋았지만, 뭔가 찜찜했다.
다시 주민번호클린센터 첫 페이지로 돌아갔다가 화면으로 돌아와보니, 검색 결과 화면이 바뀌었다.-_- 사이트가 불안정한 것 같았다. 화면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다니.-_-
다시 검색한 결과는 이랬다. (2015.0311)
예전 검색 결과는 이렇다. (2014.0430)
새로이 더 가입한 곳도 없는 것 같은데, 늘었다. 무려 60건이다. 당시 탈퇴 신청한 것이 50건 정도인데, 오랜만에 다시 검색해 보니 기분이 더 찜찜해졌다. 탈퇴 신청한 것은 다 되긴 한건지~~
한국신용평가정보(주) 에만 65건이 더 늘었는데, 검색해보니 연관검색어에 아이핀이 뜨는 것으로 보아 관련 사이트인 것 같았다.
헛헛헐. 주민번호클린센터 검색결과를 클릭하니 결과를 이런식으로 보여주었다. 내 컴퓨터의 잘못인건가... 사이트의 오류인건가..
결과가 궁금해 엑셀 다운로드를 해 보았다.
우려했던 한국신용평가정보(주) 는 아이핀 관련된 곳이 맞는듯 싶다.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비밀번호를 찾기 위해 실명인증을 한 내역이 다 올라와 있었다.
한국신용평가정보(주) 65 건의 정체는 근 10 여개월 동안 내가 가입한 사이트 수가 아닌, 실명인증 횟수라는 것이 밝혀져서 마음이 급 편해졌다. 다만, 저 65 건의 결과는 2010년 3월 13일 부터 발생된 내역으로, 지난 (2014.0430) 일에 검색했던 결과는 사이트 불안정으로 제대로 표시되지 않았던 것임을 알게 되었다.-_- (안타깝.)
홈페이지회원 탈퇴를 신청하려면 각 사이트 링크를 따라가서 회원 탈퇴를 신청하거나, 맨 아래쪽에 위치한 홈페이지탈퇴 요청하기를 통해 주민번호클린센터에 회원탈퇴를 신청할 수도 있다.
다만, 가입한 사이트가 전면 개편(국가적으로 주민번호 삭제를 강제함.)을 하면서 회원 정보를 죄다 삭제해 버렸거나, 오랫동안 로그인을 하지 않아 회원정보를 파기한 경우 등등은 회원 탈퇴를 할 수도~ 가입했던 회원 정보를 찾아볼 수도 없으니, 이 점을 생각하면서 회원 탈퇴를 위해(?) 구지 다시 회원 가입을 하지는 않는 것이 좋겠다.
'어쩌다알게된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편하게 인터넷으로 전기요금 납부하기. (한국전력공사 사이버지점에서) (0) | 2015.03.14 |
---|---|
2015 DIY REFORM SHOW 무료관람 신청하기. (다이리폼쇼) (0) | 2015.03.14 |
우체국 카드 포인트 사용(캐쉬백 전환) 방법. (0) | 2015.03.09 |
[RAY] 레이 바이퓨얼 연비 / 315 km 2015.02 (3) | 201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