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집에 놀고 있는 넷북에 웹서버를 설치해서 이용하려고 여러모로 노력중입니다.
그런데, 영~ 쉽지가 않네요. 포트 때문에 막혀서 외부에서 안 열리는 건지.. 공유기를 쓰면 문제가 쉽게 풀릴텐데, 그냥 KT 통신망에 다이렉트로 연결해서 쓰다보니 쉽지가 않네요.
여튼, 문제를 풀어가던 도중, 잘 안풀려서 이것저것 검색하던 중에, 외부에서 컴퓨터를 자동으로 켜지게 하려면 넷북의 맥 어드레스를 알아야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윈도우 XP에서 맥 어드레스.
제어판 > 네트워크 연결
윈도우 XP cmd 창에서 ipconfig 명령어가 안 읽혀서 제어판으로 들어갔습니다.
저는 넷북에 랜선을 끼워 사용하지 않고 무선랜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 연결에서 들어갔습니다.
마우스 오른쪽 키를 누른 후 상태 클릭.
지원 탭을 누른 후, "자세히"를 클릭하면 네트워크 연결 세부정보에서 실제 주소란에 있는 값이 맥 어드레스입니다.
윈도우 7에서 맥 어드레스 1번째 방법.
"실행" 또는 "윈도우+R " 키를 누른 후, cmd 를 입력합니다.
그럼 이렇게 도스창이 열리는데, 여기서 ipconfig /all 을 입력하고 엔터.
물리적 주소가 나옵니다. 여기있는 값이 맥 어드레스 입니다.
윈도우 7에서 맥 어드레스 2번째 방법.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2번째 방법은 윈도우 XP에서 쓰는 방법과 비슷합니다.
나오는 화면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을 클릭합니다.
이때 나온 화면에서 "자세히" 클릭.
여기에 나온 물리적 주소가 맥 어드레스 입니다.
그 이후 윈도우 버전에서는 잘 모르겠네요. 집에 컴퓨터가 없어서.
아마 대부분 비슷한 방법일 겁니다.
윈도우 XP, KT 회선 다이렉트 사용(공유기X), 파일질라 로 서버 구성하신 분 계시면 도움을 받고 싶네요. 잘 아는 분께 건너건너 여쭤봤더니, 알 FTP 쓰라고..ㅎㅎ
'어쩌다알게된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구 결혼식 축의금, 삼성 셀디 Gift 카드로. (0) | 2014.05.27 |
---|---|
알약 익스플로잇 쉴드로 윈도우 XP 보안 이어가기. (0) | 2014.05.25 |
오피스 파워포인트 템플릿. Office 서식 파일에서 한번에 보기. (0) | 2014.05.14 |
원천징수영수증 출력. (0) | 2014.05.07 |